조기수령 vs 연기수령
국민연금 노령연금을 언제부터 받는 게 나에게 가장 유리할까요? 조기수령을 할지, 연기수령을 할지에 따라 매달 받는 금액은 물론 평생 총 수령액까지 크게 달라집니다. 수령액 차이를 실제 시뮬레이션 사례로 완전히 정리해 드립니다.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조기수령 vs 연기수령 개념 정리
| 구분 | 조기수령 | 연기수령 | 
|---|---|---|
| 선택 시점 | 정상 수급 나이보다 앞당김 | 정상 수급 나이보다 늦춤 | 
| 조정 가능 기간 | 최대 5년 앞당김 | 최대 5년 연기 가능 | 
| 감액·증액률 | 매년 6%씩 감액 | 매년 7.2%씩 증액 | 
| 감액·증액 방식 | 영구 적용 (평생 동일) | 영구 적용 (평생 동일) | 
- 
조기수령: 당장 필요할 땐 좋지만 장수할수록 손해 가능성 커짐
 - 
연기수령: 여유 자금이 있고 건강 양호하다면 장기적으로 유리
 
2025년 수령액 시뮬레이션 (실제 사례)
A씨 가정
- 
가입기간: 25년
 - 
과거 평균소득: B값 250만원
 - 
2025년 A값: 3,089,000원
 - 
예상 정상 수령액 (정상 수급연령 기준): 80만원
 
시나리오별 결과
| 수급 선택 | 수급 시점 | 수령액 변화 | 최종 수령액 | 
|---|---|---|---|
| 조기수령 | 60세 | 5년 조기 → 6% × 5년 = 30% 감액 | 약 56만원 | 
| 정상수령 | 65세 | 감액·증액 없음 | 80만원 | 
| 연기수령 | 70세 | 5년 연기 → 7.2% × 5년 = 36% 증액 | 약 109만원 | 
조기 vs 연기 선택 전략은?
조기수령 유리한 경우
- 
60세 이후 생활비가 급하게 필요한 경우
 - 
건강상 장수 자신 없는 경우
 - 
당장 소득이 없어 생계 급한 경우
 
연기수령 유리한 경우
- 
퇴직 이후에도 다른 소득원이 있는 경우
 - 
건강이 매우 양호하고 장수 가능성 높을 때
 - 
연금의 ‘장기 안정적인 월소득’ 확보가 중요할 때
 
✅ 특히 최근 평균수명 증가 추세에 따라 연기수령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연기수령 전략시 주의할 점
- 
연기 도중 사망하면 연기분 이익 없이 남게 됨 (보험성 보장은 아님)
 - 
본인 건강상태와 가족력 반드시 고려
 - 
수급 연기는 한 번 선택하면 변경 불가 (연도별 일부 부분 연기도 가능)
 
핵심 요약
- 
조기수령: 매년 6%씩 감액 → 최대 30% 감액 (5년 조기 기준)
 - 
연기수령: 매년 7.2%씩 증액 → 최대 36% 증액 (5년 연기 기준)
 - 
총 수령액 차이는 수명과 개인상황 따라 매우 커짐
 - 
반드시 ‘수급 개시 시점’ 선택이 노후 재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