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내가 받을 수 있는 지원금
뉴스에서 본 ‘최대 55만 원’이라는 숫자만으로는 내가 얼마를 받게 되는지 가늠하기 어렵죠. 민생회복지원금은 기본 지원금 + 지역 추가금 + 2차 지급분까지 합산해 계산되므로 단계별로 따져봐야 내 정확한 금액이 나옵니다.
이 글에서는 1분 만에 직접 계산하는 법부터, 정부가 최종 금액을 알려주는 방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 헷갈리는 분들은 끝까지 확인해주세요!
1. 기본지원금은 누구나 받을까? 기준부터 확인
우선, 내가 속한 소득 계층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기본 금액이 다릅니다. 해당 구간을 확인해보세요.
구분 | 기본 지급액 (1인당) |
---|---|
기초생활수급자 | 40만 원 |
차상위계층 또는 한부모가족 | 30만 원 |
그 외 일반 국민 | 15만 원 |
2. 사는 지역 따라 달라지는 추가 금액도 확인
같은 조건이라도 거주 지역에 따라 추가 지원이 붙을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조건 중 유리한 쪽 하나만 적용됩니다.
거주 지역 | 추가금액 |
---|---|
인구감소지역 (84개 시·군) | 5만 원 |
그 외 비수도권 지역 (서울·경기·인천 제외) | 3만 원 |
수도권 지역 (서울·경기·인천) | 해당 없음 |
3. 2차 지원금 10만 원, 조건은 더 까다롭다?
정부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전 국민의 90%에게 1인당 10만 원의 2차 지급금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다만, 이는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수준을 바탕으로 선정되므로 조금 더 까다롭습니다.
구분 | 2차 지급 가능 여부 |
---|---|
건강보험료 기준 상위 10% 이내 | 제외 대상 |
나머지 국민 (90%) | 10만 원 지급 |
- 정확한 건강보험료 커트라인은 9월 중 공식 발표 예정입니다.
- 2차 지급은 별도 신청 없이 자동 분류 및 지급됩니다.
4. 복잡한 계산이 싫다면? 정부에서 알려주는 방법
“복잡하게 계산하지 말고, 누가 좀 대신 알려주면 좋겠다…” 이럴 땐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세요. 신청만 해두면 정부가 나에게 얼마가 지급되는지를 정확히 알림으로 통보해줍니다.
항목 | 내용 |
---|---|
신청 가능일 | 2025년 7월 14일(월)부터 |
알림 도착일 | 7월 19일(토) 예정 |
채널 | 카카오톡, 네이버앱, 토스 앱 등 |
5.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 계산 예시로 확인해볼까?
아래는 실제 예시입니다. 본인의 상황과 비슷한 조건을 대입해 계산해보세요.
예시 1) 일반 국민 + 수도권 거주 + 소득 90% 이하
1차 기본 15만 원 + 지역 추가금 없음 + 2차 지급 10만 원 = 총 25만 원예시 2) 기초생활수급자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 2차 포함
1차 40만 원 + 지역 추가 5만 원 + 2차 지급 10만 원 = 총 55만 원예시 3) 일반 국민 + 비수도권(충북 거주) + 소득 상위 10%
1차 15만 원 + 지역 추가 3만 원 + 2차 지급 없음 = 총 18만 원민생회복지원금은 단순히 ‘일괄 지급’이 아닌, 소득, 지역, 비율 조건을 반영해 차등 지급되기 때문에 직접 계산해보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하지만 더 간편한 방법도 있습니다. 국민비서 알림 신청을 해두면, 복잡한 계산 없이 내가 받을 금액을 그대로 통보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받은 금액에 이의가 있다면 이의신청 절차도 따로 있으니, 불이익 없이 모두 챙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