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을 쓰기로 마음먹은 순간, 누구나 가장 먼저 궁금한 건 ‘얼마 받을 수 있지?’, ‘어떻게 신청하지?’일 겁니다. 육아휴직 급여 정책은 고용보험 가입자라면 누구나 꼭 알아야 할 복지제도입니다. 신청 시기와 자격 요건, 지급 금액을 놓치면 수백만 원의 지원금을 날릴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부터 자격 요건, 지원 금액, 준비 서류, 자주 묻는 질문까지 모두 확인하시길 바랄게요. 신청 가능한 기간은 정해져 있으니 글을 끝까지 읽고 바로 준비해보세요!
육아휴직 급여란?
육아휴직 급여는 자녀 양육을 위해 일을 쉬는 기간 동안 정부가 지원하는 급여입니다.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가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최대 12개월까지 매월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제도인데요, 이는 가족 친화형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부모의 육아 부담을 덜기 위한 제도적 장치입니다.
육아휴직 급여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대상 자녀 |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
지급 기간 | 최대 12개월 |
지급 주체 | 고용보험 (근로복지공단) |
신청 기한 | 육아휴직 시작 1개월 후 ~ 종료 후 12개월 이내 |
육아휴직 급여 신청 자격
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보다 먼저 체크해야 할 것이 바로 신청 자격입니다. 자격 요건은 단순히 "아이만 있으면 된다"가 아니며, 고용보험 가입 기간과 육아휴직 사용 이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본 신청 조건 3가지
-
육아휴직 시작일 이전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일 것
-
해당 자녀에 대해 배우자가 이미 30일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았을 것
(단, 부부가 나눠서 사용하는 경우는 예외 적용) -
육아휴직 중이며 매월 단위로 신청해야 함
✅ 위 세 가지를 모두 만족해야만 육아휴직 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육아휴직 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육아휴직 급여는 첫 3개월과 이후 9개월이 지급 기준이 다릅니다.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일정 비율이 적용되며, 상한액도 명확히 정해져 있어요.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지급 기준
구분 | 지급률 | 월 최대 금액 |
---|---|---|
1~3개월차 | 통상임금의 100% | 300만 원 |
4~12개월차 | 통상임금의 80% | 250만 원 |
한부모 가정 | 전 기간 100% | 300만 원 |
두 번째 사용자 (아빠 등) | 첫 3개월 100% | 300만 원 |
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
육아휴직 급여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고용보험 온라인 통합플랫폼 ‘고용24’를 통해 대부분 신청이 이뤄지고 있어요.
온라인 신청 (고용24)
- 고용24 접속
-
공동인증서 로그인
-
[육아휴직 급여 신청] 메뉴 클릭
-
신청서 작성 후 첨부서류 업로드
-
제출 후 문자 알림 수신
오프라인 신청
-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또는 우편 제출
- 평일 9시~18시 운영 (신분증 지참)
육아휴직 급여 신청 시 필요한 서류
신청 시 단 4가지 서류만 준비하면 됩니다. 모든 서류는 회사 또는 본인이 쉽게 발급 가능해요.
서류명 | 제출 방법 |
---|---|
육아휴직 급여 신청서 | 온라인 작성 또는 센터 비치 |
육아휴직 확인서 | 회사 작성 후 스캔 또는 원본 제출 |
통상임금 확인서 | 급여 명세 기준 작성 |
금품수령 확인서 | 육아휴직 중 급여 수령 시 제출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육아휴직 중 다른 일 하면 급여 못 받나요?
A. 네. 육아휴직 중 취업 활동이 확인되면 지급 중지될 수 있습니다. 단, 일부 비고용 활동은 예외.
Q2. 급여는 언제 입금되나요?
A. 신청일 기준 14일 이내 지급되며, 검토 필요 시 최대 30일까지 소요될 수 있어요.
Q3. 공동명의 계좌로 받아도 되나요?
A. 아니요. 신청자 본인 명의 계좌만 가능합니다.
Q4. 육아휴직 급여는 세금이 붙나요?
A. 네.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